화폐들의 가치가 하락함에 따라 소비자물가지수가 치솟고 인플레이션 공포가 커지고 있습니다.
군것질을 하기 위해 마트에 가서 물건을 구매해보면 가격은 같은데 예전과 달리 양이 전보다 줄은 게 느껴지시지는 않나요?
이러한 현상은 개인적인 느낌이 아니라, 판매하는 식품들이 실제로 이전보다 양을 줄여서 판매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도대체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이란??
영국의 경제학자 피파 맘그렌이 고안한 용어로 shrink(줄어든다)+inflation(인플레이션)의 합성어입니다. 다른 말로는 '패키지 다운사이징'입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제품의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대신 제품의 크기나 중량을 줄이거나 품질을 낮추어 생산함으로써, 가격 인상과 비슷한 효과를 얻는 전략입니다.
2.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이 발생되는 이유
가장 먼저 원자재의 가격 상승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미국에서 코로나로 인하여, 막대한 달러를 시중이 뿌렸고, 현재(2022.07.23) 기준으로 다시 달러를 흡수하기 위해서, 기준금리를 빠른 속도로 인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원자재의 가격이 상승되고 있고, 또한 코로나19로 인하여 물류대란이 왔던 부분과, 지금도 지속되고 있는 우크라이나-러시아의 전쟁이 현재 진행하여, 막대한 에너지 자원을 생산했던 러시아와, 세계 최대의 곡창지대인 우크라이나의 공급에 차질이 생겼기 때문에, 전 세계적인 원자재 가격 상승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에 반해 제품의 가격을 올린다면 소비자로부터 제품이 외면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기존의 가격을 유지하되, 기존의 제품에서 양을 줄이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고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원가비용이 상승한 상태에서 제품의 가격을 유지하는 것은 제품의 양을 줄이는 방법밖에 없기 때문이죠. 또한 소비자들도 그것에 대해서 민감하게 생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종의 눈속임이라고 생각합니다.)
3.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의 예시
1. 서울시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항정상을 1인분에 19,000원에 180g에 판매하다가, 150g으로 줄여서 판매하고 있다.
2. 흔히 '질소 과자'라고 불리는 감자칩의 경우 용량은 이전 대비 적어지고, 오히려 질소의 양이 늘어남, 과자업체 측은 내용물 보호를 위해서 질소 충전을 했다고 하지만, 너무나도 터무니없게 적게 들어있는 과자의 양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비난받고 있다.
3. 미국의 화장지 제조업체인 크리넥스는 한 달 전만 해도 작은 상자 하나에 65장의 티슈를 담았지만, 이제는 60장으로 줄었다.
4. 미국인이 즐겨 찾는 '초바니 플립스' 요거트도 한 개 용량이 157ml에서 133ml로 줄었고, 영국에서 네슬레의 '아제라 아메리카노' 커피 한 캔은 100ml에서 90ml로 축소됐다.
5. 인도의 '빔' 식기세척용 비누 한 덩이는 155g에서 135g으로 작아졌다
6. 일본의 스낵 제조업체인 가루비는 지난달 원재료 가격의 급격한 상승을 이유로 상당수 제품에 대해 용량을 10% 줄이고, 가격은 10% 올린다고 발표했다.
이런 식으로 기업들의 꼼수 대응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사태에 대해서 에리조나주립대의 히텐드라 차투르베디 교수는 "그들이 폭리를 취한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런 냄새를 풍긴다"며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공급의 제한을 무기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냐"라고 이야기했다고 한다.
4.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에 당하지 않기 위한 요령
- 상품의 전체의 가격보다는 상품의 단위당 가격을 확인하라.
- 상품 포장이 바뀐 제품도 면밀히 살펴라. 기업들이 제품 용량을 줄이면서 티가 나지 않도록 제품 포장을 미세하게 바꾸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ex '신상품' (new), '더 좋아진' (improved))
- 비교적 용량이 넉넉한 마트의 자체 브랜드(PB) 상품에 관심을 두거나, 할인 쿠폰, 코너를 활용하라.
- 유통기한이나 신선도 등이 중요하지 않은 제품이라면 할인 코너에서 제품을 사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제품 자체에 문제가 있다기보다는 유통업체가 제품 리뉴얼을 앞두고 있거나 마트가 일시적으로 재고 관리를 하지 못해 할인 판매를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기업들은 소비자를 기만하지 않으면서, 원가 비용을 잘 반영하여 가장 합리적인 제품을 생산하고, 소비자들은 합리적인 소비를 하며, 기업과 소비자들 모두 윈윈(win-win) 하는 상황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경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 네트워크(PI Network) (0) | 2022.07.24 |
---|---|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길 다시 열린다 (22.07.22) (0) | 2022.07.23 |
엔씨소프트 매수추천 [22.07.01기준][기준가350,000원] (1) | 2022.07.02 |
LG생활건강 매수추천 [22.06.27기준] (0) | 2022.06.27 |
주식매매일지[2022/06/08] (1)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