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발표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

봄땅 2022. 8. 4. 13:50
반응형

 

우리나라 산업에서 반도체는 아주 중요한 위치에 있고, 전 세계적인 경쟁도 정말 치열한 상황인데요.

 

정부는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을 위해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기업을 뒷받침하고,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을 발표했어요.

 

이번 발표에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 궁금하죠? 오늘의 딱풀이,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에 대해서 자세하고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민·관 역량 총결집, ‘반도체 혁신 선도국가’로 도약!

 

정부는 앞으로 5년 동안 340조 원을 투자해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 시장 점유율 10% 달성 등 다양한 목표를 제시했어요.

 

또한 기업과 힘을 합쳐서 반도체 혁신 선도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협업을 이루어갈 예정이랍니다.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의 주요 내용은 투자지원, 인력양성, 시스템 반도체 선도기술 확보, 견고한 소재·부품·장비 생태계 구축 등 총 4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어떤 내용들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반도체는 핵심 미래 먹거리

 

반도체는 모든 첨단산업의 필수 부품으로 미래 기술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요소입니다. 그 중요도만큼 세계 각국의 경쟁이 치열한데요. 우리나라는 메모리 반도체는 세계 1위이지만 시장 점유 시스템 반도체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취약해요.

 

· 반도체 종류

 

① 메모리 반도체 (정보 저장)

 

: D램, 낸드플래시 등

 

② 시스템 반도체 (정보 처리, 연산·제어)

 

: CPU, 모바일AP 등

 

· 반도체 회사 분류

 

① 팹리스 (설계 전문, 생산공장X)

 

: 애플, ARM

 

② 파운드리 (생산 전문)

 

: TSMC

 

③ 종합 반도체 회사 (설계+생산)

 

: 삼성전자, 인텔

 

 

* 시스템 반도체는 고도의 설계 기술이 필요해 팹리스와 파운드리 회사로 나뉨

 

* 종합 반도체 회사는 메모리·시스템 반도체 모두 설계·생산

 

 

◆ 민·관 손잡고 반도체 산업 혁신에 올인

 

정부는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을 목표로 전방위 지원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인프라 지원 규제특례로 기업 투자를 뒷받침하고, 전문 인력 양성과 시스템 반도체 경쟁력 제고, 소 부장 자생력 확보에 집중합니다.

 

 

·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 주요 내용

 

① 기업 투자 촉진

 

- 반도체 단지 전력 · 용수 등 필수 인프라 지원

 

- 반도체 설비 및 R&D 투자세제 지원 확대

 

 

② 전문 인력 양성

 

- ‘반도체 특성화 대학원' 내년 신규 지정

 

- 업계 주도 '반도체 아카데미’ 연내 설립

 

 

③ 시스템 반도체 선도기술 확보

 

-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전력 · 차량 AI) R&D 집중 지원

 

- ‘스타 팹리스’ 30개사 선정

 

 

④ 견고한 소 부장 생태계 구축

 

- 시장 선도형 기술 개발 비중 9% → 20% 확대

 

- 판교, 용인 등에 반도체 소 부장 클러스터 구축

 

 

◆ 반도체 혁신 선도국가 도약

 

반도체는 경제를 넘어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미래 전략 자산입니다. 세계 경제 주도권을 잡고 혁신성장을 선도하도록 반도체 초강대국 지위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ㆍ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 기대효과

 

① 기업 투자 ’26년까지 : 투자 340조 원

 

② 인재 양성 ’31년까지 반도체 전문 인력 : 15만 명 +a 양성

 

③ 기술 경쟁력 ’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 점유율 3% →10%

 

③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반 ’30년까지 : 자립화율 30% → 50%

 

 

☞대한민국 정부 공식 블로그 바로 가기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